본문 바로가기
정보/각종 꿀팁

예비군 민방위 기간 훈련 정보

by coinguide 2025. 1. 3.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국방의 의무, 그중에서도 병역의 의무를 이행해야 합니다. 하지만 군 복무를 마친 이후에도 추가적인 훈련이 기다리고 있죠. 바로 예비군과 민방위 훈련입니다. 오늘은 예비군과 민방위의 연차별 기간과 훈련 내용을 간략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예비군 훈련 기간: 전역 후 1~8년차

 

 

예비군이란?
전역 후 8년차까지 편성되는 제도로, 국가 비상사태 시 현역 군부대의 전력을 보강하기 위해 조직됩니다. 예비군은 국가 방위를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국민 모두가 협력하여 자주 국방을 실현하는 데 기여합니다.

연차 및 훈련 내용

연차훈련 종류 및 시간

1~4년 동원훈련(2박 3일) 또는 출퇴근 훈련(32시간), 병 기본훈련
5~6년 병 기본훈련(1일 8시간)
7~8년 민방위 편성 대기
  • 1~4년차:
    전역 후 첫 4년 동안은 동원훈련에 참여하며, 보통 2박 3일 동안 진행됩니다. 대학생이나 특정 대상자는 하루 8시간 훈련으로 대체 가능하며, 동원 제외 대상자는 출퇴근 형식으로 훈련을 이수할 수 있습니다.
  • 5~6년차:
    이후 5~6년차에는 주민센터 등지에서 하루 약 8시간의 기본 훈련을 받게 됩니다.
  • 7~8년차:
    마지막 2년은 민방위 대기 상태로, 별도의 동원훈련 없이 예비군 활동을 마무리합니다.

 

민방위 훈련 기간: 40세까지

 

민방위란?
민방위는 예비군 훈련이 끝난 후, 만 40세까지 편성되는 제도로 전쟁, 재난 등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지역 방위 및 재난 대응을 목적으로 운영됩니다.

연차별 훈련 내용

연차훈련 방식

1~2년 집합 교육
3~4년 온라인 교육
5년차 이후 온라인 교육
  • 1~2년차:
    민방위 초반 2년 동안은 주민센터나 학교 등에서 집합 교육을 받게 됩니다. 간단한 영상 시청이나 정신교육이 주를 이루며, 출석 확인 후 교육이 진행됩니다.
  • 3년차 이후:
    3~4년차부터는 대부분 온라인 교육으로 대체되며, 바이러스와 같은 특별한 상황에서는 모든 연차가 온라인 방식으로 전환되기도 했습니다. 5년차 이후에도 동일하게 온라인 교육을 이수하면 됩니다.

 

맺음말

 

 

오늘은 예비군과 민방위 훈련의 연차와 기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는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고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꼭 필요한 제도입니다.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는 국민 모두에게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하며, 오늘 글을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