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각종 꿀팁

2025년 최저임금과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 안내

by coinguide 2025. 1. 19.

2025년 대한민국 최저임금은 시간당 10,030원으로 책정되며, 드디어 만 원을 넘어섰습니다. 비록 이번 인상률이 역대 최저 수준에 가깝지만, 최저임금이 만 원을 돌파했다는 점은 상징적인 의미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연봉별 실수령액 표와 연봉 계산기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겠습니다.

 

2025 연봉별 실수령액 표

 

연봉(만원)실수령액(월)

2,000 1,520,566
2,500 1,890,463
3,000 2,248,340
3,500 2,580,346
4,000 2,917,143
4,500 3,239,250
5,000 3,552,316
6,000 4,183,470
7,000 4,785,823
8,000 5,313,816
9,000 5,868,840
10,000 6,423,903

 

위 표는 연봉에 따른 월 실수령액을 보여줍니다. 실수령액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근로소득세, 지방소득세 등의 공제 항목을 제외한 금액입니다. 표를 참고하여 본인의 실수령액을 대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저임금 기준 월급 및 연봉 비교

 

 

2025년 최저시급(10,030원)을 기준으로 주 5일, 하루 8시간 근무를 하면 월 약 209만 원을 받게 됩니다. 이는 연봉 약 3,000만 원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하지만 물가 상승과 함께 인건비도 증가하면서 경제적 부담이 커지는 상황입니다.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 소개

 

 

정확한 실수령액을 알고 싶다면 온라인 연봉 계산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람인에서 제공하는 실수령액 계산기는 사용이 간편하며, 본인의 연봉, 월급, 퇴직금을 입력하면 세부 공제 항목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요 특징:

  1. 간단한 사용법: 연봉이나 월급을 입력하면 자동 계산.
  2. 공제 세부 정보: 국민연금, 건강보험 등 항목별 공제 금액 표시.
  3. 가족 부양 여부 체크: 부양가족 수에 따라 공제액이 달라짐.

 

지금까지 2025년 최저임금과 연봉 실수령액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연봉 계산기를 활용해 보다 정확한 금액을 확인해 보세요.